화재 경보기는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대비할 수 있는 필수적인 방어 수단이다. 통계에 따르면 화재 경보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의 화재 사망자는 제대로 작동했을 때보다 2배나 높게 나타났다.

화재 경보기를 설치할 때는 적절하게 배치하고 유지 보수를 꾸준히 해야 제대로 작동하여 우리를 보호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의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일반적인 문제는 집안 크기에 비해 화재 경보기의 개수가 부족하거나, 건전지가 닳거나 없는 경우 혹은  노후화(일반적으로 10 년 또는 87,000 시간 후)된 경우다. 또한 화재 경보기가 표준 규격인 UL 217의 안전 및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UL은 40 년 넘게 화재 경보기 성능 표준 연구를 선도해오고 있다. UL은 미국국립기술표준원(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과 공동으로 화재 경보기의 최초 표준 UL 217을 개발했다. 1976 년에 처음 발표 되어 2015 년에 8번째로 개편된 UL 217은 주택 디자인, 건축 기술 및 장식 재료의 변화로 인한 화재/연기 특성을 반영하여 발표되었다.

현대식 주택은 1970 년에 지어진 주택보다 평균 56 % 이상 크며, 대부분의 가구가 예전과는 다르게 합성수지로 만들어졌다. 합성수지는 면, 양모 또는 린넨과 같은 이전의 주택 건축 소재보다 빠르고 더 높은 온도에서 연소하며 현대식 주택의 개방형 구조와 높은 천장은 화재시 불길을 더욱 빨리 번지게 한다.

 

 

표준의 진화

UL은 가구 자재의 변화가 화재 경보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현대식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들을 사용한 연구를 진행했다. 조사에 따르면, 가구에 사용 된 합성 물질 중 일부는 현재 일반적으로 화재 경보기 테스트에 사용되는 연기와 다른 특징(예 : 입자 크기, 분포)을 가지고 있다고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화재 경보기 성능 시 실험대상이 되는 연기군을 확대하여 오늘날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화재 경보가 요리와 같은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해 작동할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러한 오작동으로 인해 화재 경보기를 꺼두게 되어 실제 필요할 경우에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UL에서는 이렇게 조리시 발생할 수 있는 연기로 인해 화재 경보기가 오작동 하는 경우들을 모아, 어떤 연기적 특성과 특이점에서 화재 경보가 발생하는지 연구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기 입자 크기와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개발하기 위해 몇 가지 조리상황을 설정, 세가지 음식을 직접 만들며 실험을 진행했다. 토스트기에 굽는 식빵,  프라이팬에서 만드는 햄버거, 그릴에 굽는 햄버거. 토스트 빵 요리시 발생하는 연기는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가 작았지만 높은 입자 농도를 가졌고, 프라이팬 햄버거는 더 넓은 입자 분포를 보였다. 햄버거를 구울때 발생하는 연기는 위의 3개 중 가장 큰 입자를 발생시켰다.

햄버거를 구울 때 가장 연기가 많이 발생하면서 화재 경보기가 작동했으며, 햄버거를 불에 태울 경우 앞의 두 개의 실험에서 나타난 연기 입자 크기와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햄버거를 불에 구웠을때 발생하는 연기는 세 가지 음식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특징을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서 써 화재 경보를 시험하는 대표 시나리오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UL 217는 이러한 생활 양식의 변화에 맞춰 3 가지의 새로운 화재 테스트(연기가 나는 폴리우레탄 폼 화재 테스트, 불에 타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 화재 테스트 및 요리시 오작동 알람 테스트)를 추가하였으며, 화재 경보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8번째 발간된 UL217에는 250 개가 넘는 개정 내용이 수록되었다.

UL은 집주인에게 화재 경보기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제조업체에서 권장하는 교체 시기를 확인하고 이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2013 년 이후에 제조 된 화재 경보기에는 제품의 유효 수명이 만료되었을 때 소비자에게 알림을 주는 기능이 있다. 화재 경보기도 수명이 있으며, 배터리로 작동을 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주기적으로 알람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며 건전지를 체크하는 것이 화재를 예방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RESOURCES